본문 바로가기

내장함수

(2)
[python] 기초문법 - 리스트와 내장함수(1) 파이썬 기초문법 for 코딩테스트 리스트와 내장함수1 import random as r #random모듈에 있는 내장함수 사용을 위한 import 지금까지 배운 방법으로 2000명의 수학점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변수 2000개가 필요하다. 하지만, 이런 방법은 매우 비효율적이다.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자료구조인 리스트를 활용해서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다. 리스트란? a=[1,2,3,4,5,6] #리스트 선언 print(a[0])# 1출력 print(a[2])# 3출력 #a란 리스트 변수 하나를 선언해서 인덱스로 접근하여, 여러개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. 빈리스트를 만든는 2가지 방법 a=[] b=list() list 초기화 a=[1,2,3,4,5] print(a) # [1, 2, 3, 4, 5] 출력..
[python] 기초문법 - 문자열과 내장함수 파이썬 기초문법 for 코딩테스트 문자열과 내장함수 msg="It is Time" print(msg.upper())#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변경 print(msg.lower())#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경 print(msg) #upper와 lower은 msg에 저장된 문자열이 변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문자열 생성되는 것(새로운 변수에 저장가능) tmp=msg.upper()#msg 대문자화 결과를 tmp에 저장 print(tmp) print(tmp.find('T'))#tmp 문자열에서 대문자 T의 인덱스를 찾음. 가장 첫번째 T의 인덱스를 반환해준다. ''' 인덱스란? 문자열: 문자의 집합의 일련의 시퀀스이다. 즉, 문자열은 문자가 하나씩 저장된 집합. 문자 하나를 접근 할 수 있는 위치=인덱스 공백도 하..